OS/Windows Server 2012

[server 2012]디스크 관리

방구석Lee씨 2015. 12. 3.
반응형

사용되는 용도와 크기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


개인용

IDE(ATA)

SATA


서버용

SAS-HARD DRIVE

SCSI-HARD DRIVE


SSD

SSD-HARD DRIVE



윈도우 서버 디스크의 분류


고정 디스크(Fixed Disk) 

이동식 디스크(Removable Disk) 

 가상 디스크(Virtual Disk)

 시스템에 장착되어 이동할 수 없는

형식의 디스크

예)SATA,SSD등

 시스템에 연결과 분리가 쉬운 형식의 디스크

예)USB,e-SATA등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만들어 공개한 디스크

-윈도우 7부터 지원

-VHD(Virtual Hard Disk)파일

[표 1 윈도우 서버 디스크 분류]



[그림 1 디스크 관리]



시스템 파티션 

 1.윈도우를 부팅시킬 수 있는 부트스트랩(부트 매니저)파일을 가지고 있고 부팅을 진행하는 파티션

2.윈도우에서 시스템 파티션은 무조건 활성 파티션

 활성 파티션

1.주 파티션만이 활성 파티션이 될 수 있음

2.주 파티션,확장 파티션,논리 드라이브와 같은 디스크 레벨의 개념임 (모든 디스크는 활성파티션을 가질수 있음)

 부팅 파티션

부팅에 필요한 윈도우 시스템이 저장되어 있는 파티션 

 페이지 파티션

윈도우가 실행할 때 생성되는 가상 메모리 파일이 페이징 파일에 저장되는 파티션 

 크래시 덤프 파티션

크래시 덤프 파일(윈도우가 치명적인 오류로 인해 정지되었을 때 컴퓨터의 정보를 저장하는 파일)이 저장되는 파티션으로 보통 부팅 파티션임 

[표 2 파티션 종류]


기본디스크와 동적 디스크의 차이

기본 디스크->윈도우에서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디스크

1.최대 4개의 주 파티션(볼륨이라고도 함)또는 3개의 주 파티션과 1개의 확장 파티션을 만들 수 있음

※확장 파티션:4개의 파티션 제한을 넘기위해. 최대 128개의 논리 드라이브를 지정함

2.다른 파티션과 데이터를 공유 또는 분할할수 없음


동적 디스크 -> 1.작동하는 동적 볼륨을 여러 개(약 2,000개)포함함

  2.서버 운영체제에서 사용하기 위해 만들어짐

                 3.윈도우 서버 제품군,윈도우 데스크톱 제품군에서 지원함


여러 개의 동적 하드 디스크를 단일 동적 볼륨에 결합(Spanning)또는 데이터를 여러 하드 디스크에 분리 저장(Striping)

성능을 향상시키거나 여러 하드 디스크 간에서 데이터를 복제(Mirroring)하여 안정성을 강화할수 있음










레이드 구성

VM에서 HardDisk를 추가하려면 

VM-> Setting ->HardDisk -> SCSI -> Create a Virtual disk -> next -> next -> finish


[그림 2 HDD 추가]

CMD 창에서 diskmgmt.msc 명령어를 치면 다음과 같이 확인할수 있다.


[그림 3 디스크 관리]

레이드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디스크를 동적 디스크로 변환시켜야 함

디스크 온라인 -> 디스크 초기화 ->동적 디스크로 변환


012

[그림 4 동적 디스크 변환]


레이드(RAID)

데이터를 여러 개의 하드 디스크에 저장하는 기술

고가의 서버 장비들은 

처리 속도가 빠른 하드웨어 기반의 레이드를 지원함


레이드(RAID) 종류

RAID 0


[https://en.wikipedia.org/wiki/Standard_RAID_levels]

                    1. 여러 개의 디스크를 병렬로 배치하여 하나의 큰 디스크를 만들어 사용하는 방식

데이터 입출력이 각각의 디스크에 공평하게 분배됨

                  디스크의 수가 N개이면 I/O(입출력)속도 및 저장 공간은 이론상 N배로 높은 성능을 나타냄

2.디스크 중 하나만 고장이 방생하여도 전체 데이터 파손

  3.오류검출 기능이 없어 디스크 수를 늘릴수록 안정성이 떨어짐

                    디스크의 크기가 서로 다를 경우 디스크의 크기가 작은 크기로 생성됨


RAID 1

[https://en.wikipedia.org/wiki/Standard_RAID_levels]


1.두개의 미러링 쌍으로 구성된 디스크에 동일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식

                  ->실제 저장 크기는 전체 디스크 크기의 절반으로 줄어듦

->데이터의 안정성 높음

디스크의 크기가 서로 다른 경우 디스크의 크기가 작은 크기로 볼륨이 생성됨


RAID 2

[https://en.wikipedia.org/wiki/Standard_RAID_levels]

오류 정정부호(ECC)를 기록하는 전용의 디스크를 이용해서 안정성을 높인 방식

비트 단위 해밍코드(Hamming Code)적용


RAID 3

[https://en.wikipedia.org/wiki/Standard_RAID_levels]

바이트 단위의 패리티 저장


RAID 4


[https://en.wikipedia.org/wiki/Standard_RAID_levels]

워드 단위로 패리티 저장

RAID 2,3,4

1. 하나의 디스크가 고장이 나도 ECC를  이용하여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지만,

추가적인 연산이 필요하여 입출력 속도가 매우 떨어지게 됨

2.모든 I/O(입출력)에서 ECC 계산이 필요하므로 입출력 병목 현상이 일어남

3.ECC 기록용으로 쓰이는 디스크의 수명이 다른 디스크들에 비해 짧아지는 문제가 있음



RAID 5


[https://en.wikipedia.org/wiki/Standard_RAID_levels]


1.패리티를 하나의 디스크에 저장하지 않고 모든 디스크에 분산하여 저장하는 방식

 1.1 N개의 디스크를 사용하면(N-1)배의 저장 공간 사용

1.2 디스크 두 개 이상 고장 나면 데이터가 모두 손실됨


RAID 6


[https://en.wikipedia.org/wiki/Standard_RAID_levels]

1.서로 다른 방식의 패리티 2개를 동시에 상용

1.1 성능과 용량은 낮아지지만 안정성은 높아지게 됨

1.2 N개의 디스크를 사용하면(N-2)배의 저장 공간을 사용 가능


기타 중첩 레이드 레벨

하위 레벨에서 레이드 구성을 먼저 할 후 상위 레벨에서 다시 한 번더 레이드를 구성하는 형식


      레이드 0+1

     레이드 1+0

레벨의 종류                레이드 5+0

 레이드 5+1

  레이드 6+0


1. 스트라이프 볼륨  변환


[그림 5 스트라이프 볼륨 설정]

새 스트라이프 볼륨을 선택하면 새 스트라이프 볼륨 마법사가 시작된다.

마법사에서 다음 -> 사용 가능한 디스크에서 원하는 만큼 추가 


[그림 6 스트라이프 볼륨 설정(2)]

 기본 설정 값으로 설정하면 된다.



[그림 7 스트라이프 볼륨 설정 완료]

위와 같이 설정된 것을 확인할수 있다.


2. 미러 볼륨 변환

윈도우 서버에서 미러 볼륨을 설정하면 자동으로 동적 디스크로 변환 해준다.


01

[그림 8 미러 볼륨 설정]

미러 볼륨을 확인하면 10GB인것을 확인 할수 있다.


[그림 9 미러 볼륨 확인]

위와 같이 미러 볼륨에 test라는 텍스트 파일을 만들고 하나의 디스크가 고장났다는 가정하에

하나의 디스크를 지운 뒤 test라는 파일이 있는지 확인 할수 있다.


[그림 10 미러 볼륨 확인]

디스크 1이 삭제되었지만 그 안의 내용은 사라지지 않는다.


3. 레이드 5 볼륨 변환

0

[그림 11 레이드 5 볼륨 설정]


[그림 12 레이드 5 설정 확인]

레이드 5로 설정하게 되면 동기화를 하는 과정을 거친다.

하나의 디스크가 고장났다는 가정을 하고 디스크를 VM setting에서 삭제 한 후 

다시 추가한다.

추가 할때는 고장난 디스크와 같은 타입 같은 크기의 디스크를 적용해야 한다.


012

[그림 13 레이드 5 볼륨 복구]

복구를 하게 되면

디스크에 복구할 파일을 저장하기 위해 동기화가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비용과 안정성이 좋아 서버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방식으로 많이 사용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