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reshark]UDP 트래픽
UDP의 정의
데이터그램 단위로 응용 프로토콜 엔티티사이에 데이터를 수송하는 비연결형(Connectionless) 트랜스포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토콜 1
●IP의 데이터 전송 서비스 이용
●응용 프로토콜에게 데이터 전송 서비스 제공
UDP의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이용하는 응용 프로토콜
DHCP/BOOTP,RTP,SIP
[그림 1 UDP 데이터그램 구조]
UDP 데이터그램은 8바이트의 헤더와 최대 65507바이트의 데이터로 구성
Length=UDP 데이터그램 길이 필드 = UDP 데이터그램의 헤더 길이 + UDP 데이터 그램의 데이터 길이
==>데이터그램 전체 길이를 16비트의 바이너리 값으로 표기한 것
Data는 UDP의 서비스를 사용하는 응용 프로토콜 데이터를 적재하는 곳
65507Byte(UDP 데이터의 최대길이)=65535Byte(16비트로 표현할수 있는 최대값)-(20Byte(IP패킷의 길이)+8Byte(UDP헤더의길이)
UDP 포트
UDP 엔티티와 그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UDP 응용 서비스 프로세스 사이의 논리적인 접속점(Logical Interface) 2
포트 번호
●포트 번호는 세 개의 영역을 기반으로 하여 부여됨
시스템 포트 (0~1023번)
●유명 포트(WellKnown Service)
●IETF의 표준 트랙의 서비스들이 시스템 포트 영역의 번호를 사용함
사용자 포트 (1024~49151번)
●IETF의 검토 과정을 거쳐 IANA가 사용자 포트 영역의 번호를 사용함
동적 또는 개인자 포트 (49152~65535번)
●서비스 개발자나 사용자들이 임의로 붙일 수 있는 번호
●같은 번호를 여러 개의 서로 다른 서비스들이 사용할 수 있음
IANA의 UDP 및 TCP 서비스 포트 번호 할당 현황 확인
'Network > Wiresha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reshark]WLAN 트래픽 (0) | 2016.01.17 |
---|---|
[Wireshark] DHCP 트래픽 (0) | 2016.01.17 |
[Wireshark] Icmp 트래픽 (0) | 2016.01.16 |
[Wireshark]ARP 트래픽 (0) | 2016.01.15 |
[Wireshark] DNS 트래픽 (0) | 2016.01.15 |
댓글